이름: 운영자
2001-09-27 00:00:00 | 조회: 2115
이름 : 운영자 번호 : 242
게시일 : 2001/09/04 (화) PM 00:57:33 조회 : 44
< 비전향장기수 송환 1주년 >
남한에서 `출소 남파간첩 등 공안사범`, `출소공산주의자`, `미전향장기수` 등으로 불리던 비전향장기수들은 북한으로 돌아가 `의지의 화신, 신념의 강자`로 환영받았다.
이들은 평균 31년에 최장 43년이라는 복역기록을 소유하고 있으며 6.25전쟁 뒤에 빨치산, 남파간첩 등으로 남한 당국에 체포된 후 공산주의에서 자유민주주의로 사상전향을 하지 않은 사람들이다.
분단 50여년만에 성사된 `남북정상회담`의 합의에 따라 비전향장기수 63명은 지난해 9월 2일 북한으로 돌아갔다.
이들의 북한 송환은 `...비전향장기수 문제를 해결하는 등 인도적 문제를 조속히 풀어나가기로 하였다`는 `6.15남북공동선언` 제3항을 남한 정부가 실천에 옮김으로 가능했다.
비전향장기수 송환은 지난 93년 3월 이인모(84)씨 송환이후 7년6개월만의 일로 이들은 판문점을 통해 송환돼 평양시민들의 열렬한 환영을 받았다.
지난 1년동안 이들에게는 엄청난 변화가 있었다. 북한에서의 생활은 경제적 어려움과 사회의 냉대에 시달리던 남한에서의 생활과는 하늘과 땅 차이였다.
북한은 이들에게 통일운동에 기여한 공로가 많은 인사들에게 수여하는 조국통일상과 노동당 당원들에게 주는 당원증을 수여했다.
또 냉난방 시설이 갖춰진 평양시내 70여평 규모의 아파트를 비롯해 의복, 모자, 신발 등에 이르기까지 생활에 필요한 모든 것을 지급하고 건강관리를 위해 고급약재 를 보내주는 등 북한은 최상의 대우를 해줬다.
이들은 송환된후 다양한 환영행사에 이어 노동당 창건 행사 등 북한의 각종 행사에 참석해 김정일 노동당 총비서에게 충성을 맹세하는 등 바쁜 나날을 보냈다.
대부분이 70∼80대의 고령인 비전향장기수들 가운데 이종환(79)씨가 올해 4월에, 윤용기(74)씨가 6월에 각각 병으로 사망해 현재 61명이 생존해 있다.
김선명(75)씨, 함세환(69)씨, 리재룡(56)씨, 전 진(76)씨 등 구체적으로 이름이 밝혀진 4명을 비롯해 6명은 북한으로 송환된후 결혼한 것으로 북한 언론매체와 북한을 방문했던 남한 인사들에 의해 확인됐다.
함씨는 지난 6월 53년만에 고향인 황해남도 옹진군 옹진읍을 방문해 누나와 조카들을 만났으며 류운형(78)씨는 같은 달 남포시에 살고 있는 고종사촌과 50여년만에 상봉했다.
결혼이후 신혼여행도 못간 상태에서 헤어졌던 비전향장기수 김용수(71)씨와 그의 아내 허정복(64)씨는 지난 7월 결혼 37년만에 묘향산으로 신혼여행을 떠나기도 했다.
북한은 송환된 비전향장기수들을 이처럼 세심하게 배려하며 이들을 주민의 사상교육에 동원하고 있다.
북한은 송환초기에 남한에서 오랜기간의 수감생활에도 불구하고 사상전향을 하지 않은 비전향장기수들을 `신념의 화신, 의지의 강자`로 추켜세웠다.
올해 4월부터 각급 학교 학생, 과학자, 공장 종업원, 영화인 등 각계층의 사람들과 비전향장기수들간의 상봉모임을 개최해 이들의 `사상성`을 따라 배울 것을 강조하고 있다.
한편 북한은 남한에 남아있는 비전향장기수들의 추가송환도 요구하고 있다.
북한의 조선적십자회 중앙위원회는 비전향장기수들이 송환된지 8일만인 지난해 9월 10일 국제적십자사와 각국 적십자사, 인권단체에 북송을 희망하는 다른 비전향장기수들과 이미 송환된 비전향장기수들의 가족이 북한으로 올 수 있도록 노력해 줄 것을 촉구했다.
북한은 지난 1월에 열린 `우리 민족끼리 통일의 문을 여는 2001년 대회`와 제3차 남북적십자회담에서 비전향장기수 추가송환을 거듭 요구했다.
북한의 비전향장기수 추가송환 요구와 함께 지난 99년 3월부터 남한측이 제기한 6.25전쟁 당시 국군포로를 비롯해 납북자들의 송환문제도 남한과 북한이 풀어야 할 문제로 남아있다.
그러나 북한은 국군포로와 납북자들에 대한 존재 자체를 부인하고 있는 상태이다.
ksnam@yna.co.kr
[연합=남광식 기자]
2001. 08. 29
번호 |
제목 |
이름 |
날짜 |
조회 |
---|---|---|---|---|
20 | 납북인사 북한생활기 - 죽음의 歲月 8 |
운영자 |
01-09-27 | 1891 |
19 | 납북인사 북한생활기 - 죽음의 歲月 7 |
운영자 |
01-09-27 | 2047 |
18 | 납북인사 북한생활기 - 죽음의 歲月 6 |
운영자 |
01-09-27 | 1985 |
17 | 납북인사 북한생활기 - 죽음의 歲月 5 |
운영자 |
01-09-27 | 1949 |
16 | 납북인사 북한생활기 - 죽음의 歲月 4 |
운영자 |
01-09-27 | 2007 |
15 | 납북인사 북한생활기 - 죽음의 歲月 3 |
운영자 |
01-09-27 | 2034 |
14 | 납북인사 북한생활기 - 죽음의 歲月 2 |
운영자 |
01-09-27 | 2011 |
13 | 납북인사 북한생활기 - 죽음의 歲月 1 |
운영자 |
01-09-27 | 1925 |
12 | 국회 외교통상위원 발언자료 |
운영자 |
01-09-27 | 1826 |
11 | 세계인권선언문 |
운영자 |
01-09-27 | 1887 |
10 | 전쟁 중 민간 납북자 기록을 찾을 수 없도록 유도.... |
운영자 |
01-09-27 | 1810 |
9 | < 비전향장기수 송환 1주년 > |
운영자 |
01-09-27 | 2114 |
8 | 미국 북,유해발굴비용 450만달러 지급예정 |
운영자 |
01-09-27 | 1886 |
7 | 국군포로및납북자송환촉구결의안 국회통과 |
운영자 |
01-09-27 | 1866 |
6 | 본 가족회에 관한 국정감사 자료 |
운영자 |
01-09-27 | 1925 |
5 | 6.25납북자 가족회 결성 기사 |
운영자 |
01-09-27 | 1940 |
4 | 통일부에서 말하는 국군, 납북자 해결책 |
운영자 |
01-09-27 | 1802 |
3 | 통일부 관련부처 |
운영자 |
01-09-27 | 1699 |
2 | 통일외교통상 위원회 명단 |
운영자 |
01-09-27 | 2117 |
1 | 국군포로 송환 촉구 결의안 |
운영자 |
01-09-27 | 175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