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마당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6.25 60주년 전사에도 "625전쟁중의 납북자"에 대한 언급이 없다.
이름: 윤정우
2010-07-09 17:35:28  |  조회: 3236
왜 그럴까? 우리 납북자 가족들이 너무 젊잔아서 그렇다. 625전쟁의 피해를 숙명처럼 받아 들리지 않았는지? 나도 반

성하고 있다....그 동안 먹고살고, 집안 돌보느라고 바뻐서 그랬다고 애써 자기 변명을 해 본다....625전쟁중 80,000명

이 납북되고, 그 중에 공무원이 경찰공무원까지 합쳐 3,000명이 납북되었다. 납북자 80,000면중 한강이북거주자가 얼

마나 될까?. 공무원3,000명중, 또한, 한강이북거주자는 몇명이나 될까?....아무도 따지지 않는다. 나도 따지지 않고 있

었다....6월27일 심야에 한강다리를 폭파하기전에 서울시민에게 피신할것을 방송으로 알렸다면 어떻게 되었을까?....한

강이북거주자, 특히 서울시민으로서, 요즘 말로, 강북거주자의 납북자는 훨씬 감소하였을 것이다.....이것에 대하여, 해

당 납북자의 가족은 공식적으로 불만을 나타낸적이 없는것으로 알고 있다......한강다리 폭파명령자는 누구고, 폭직전

에 폭파하지말라고 한자는 누구인지? 이젠 알고 싶다...어찌되었던, 625 60주년이 되었으니, 이젠 늦엇더라도 국가원수

인 대통려이 무슨 언, 과 행.을 할때가 된것 같다....다행히 지난 3월초, "625전쟁납북자등의 명예회복에 관한 법"이 제

정 되었으니, 이젠, 정부가 심사숙고 할때이다......지금까지 그랬으니, 계속 묵무히 두고 보자.....휴전60주년까지라

도....

---------------아 래 글-------------------------------------------------------
[6·25 60주년][미니 戰史] (30·끝)
3년 전쟁이 남긴 유산과 후유증 김상원 군사편찬연구소 전쟁사부장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기사 100자평(0) 
입력 : 2010.07.08 22:34

6·25전쟁은 남북한은 물론이고 세계적으로도 많은 영향을 초래했다. 3년 1개월 동안 국군과 유엔군이 입은 인명피해는 77만6000여명이었다. 중공군과 북한군의 피해 역시 200만명을 넘었다. 민간인의 경우 남한 100만명, 북한 150만명 등 모두 250만여명의 인명피해가 발생했는데 당시 남·북한 인구가 2500만여명 정도였다는 사실을 감안하면 전체의 10% 정도가 죽거나 다치거나 행방불명된 것이다.

전쟁은 한반도를 초토화시켰다. 개인의 재산은 물론이고 미미한 수준에 있었던 국가 기간산업시설과 공공시설이 대부분 파괴됐다. 재산 손실 추정액은 320억달러에 달했다. 또 320만명의 피란민과 30만명의 미망인, 10만여명의 전쟁고아 등으로 우리의 사회적 기반을 뿌리째 흔드는 요인이 되었다.

전쟁은 휴전으로 막을 내렸지만 그 여파는 남·북한에 커다란 소용돌이를 몰고 왔다. 북한은 전쟁 중 많은 인명손실과 함께 주민들이 대거 월남해 인적자원 측면에서 상당한 손실을 입었다. 그러나 한편으론 북한체제에 반대했던 다수의 사람이 월남하게 됨에 따라 김일성 독재체제를 보다 쉽게 구축할 수 있었다.


남한은 전쟁 이전부터 시작된 북한 주민들의 대거 유입과 경제기반의 파괴로 많은 사람이 의식주를 해결하기에도 벅찼다. 1960년대까지 국가정책의 최우선 과제는 국민의 굶주림을 면하게 하는 것이었다.

국제적으로 6·25전쟁은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 5년 만에 발생한 준(準) 세계대전이었다. 자유진영에서는 미국을 비롯한 21개국이 전투부대와 의료지원단을 파병해 유엔의 이름으로 국군과 함께 싸웠고 공산진영에서도 중국이 대규모의 병력을 파병했으며 소련 역시 공군과 군사고문단, 첨단무기 등을 지원했다.

6·25전쟁을 통해 각국의 이해관계는 크게 갈렸다. 미국은 6·25전쟁을 '아시아에서 미국을 시험해보기 위한 공산주의의 도전'이라고 보고 500억달러가 넘는 전비를 쏟아부었다. 비록 승패를 결정짓지 못했지만 자유진영의 리더역할을 수행했다. 소련은 전쟁의 배후조종자로 비난받았고, 중국은 많은 사상자를 냈지만 아시아뿐 아니라 제3세계의 리더로 부상하는 계기가 됐다. 대만은 6·25전쟁 덕분에 잠시 중국의 관심사에서 벗어나 시간을 벌게 됐고 미국의 보호 아래 자립 기반을 닦을 수 있었다. 2차대전 패전국인 일본은 경제 재건의 결정적 계기를 갖게 됐으며, 실제로 전쟁 기간 중 매년 10% 이상의 GNP 성장을 이뤘다. 제2차 세계대전 때 폐허가 됐던 유럽도 경제 회생의 전환점을 마련했다.

6·25전쟁 결과로 확고한 '냉전체제'가 구축되면서 세계 각국은 그 안에서 새로운 질서와 안정을 찾게 됐다. 이 전쟁으로 자유민주주의 국가들은 2차 세계대전 이후 도미노처럼 번져가던 공산주의 팽창을 저지하게 됐다.
  목록 수정 삭제  
댓글  총0
 
덧글 입력박스
덧글모듈
0 / 1200 byt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30 공무원납북자의 명단을 점검하니 직장란에 기재사항이 없거나 불명확 한분..
윤정우
10-10-15 2622
129 상조업체 선택시 고려해야 할 사항-향군가족상조
김창이
10-10-13 2464
128 2010북한인권국제회의
강원철
10-10-07 2851
127 집안 어르신의 이야기를 듣고 검색을 해보니.......
홍현국
10-10-02 3112
126 1,300년만에 발생했다는 625동족전쟁이 없도록 결의공원설치를 건의를 합..
윤정우
10-07-26 3156
125 "기다리는 사람들의 증언채취록"을 보면 아래와 같이 공직에 계시어 납북되..
윤정우
10-07-17 2816
124 아래와 같은 625전쟁중 2,895명의 공무원납치자에 대한 명예회복요청를 합..
윤정우
10-07-17 3175
123 공무원납북자와 그 가족에 대한 명예회복에 대하여 최광석이사님께 건의..
윤정우
10-07-10 2763
122 6.25 60주년 전사에도 "625전쟁중의 납북자"에 대한 언급이 없다.
윤정우
10-07-09 3235
121 [안내]"북한의 천안함 격침 시민사회단체 규탄대회"가 열립니다. [1]
북한민주화네트워크
10-05-26 2637
120 아래 조선일보의 기고문에 우리 이미일회장님의 이야기가 나옵니다. 감사합..
윤정우
10-04-25 2836
119 <긴급 時局세미나> 천안함 침몰 전말과 우리의 대응방향
북한민주화네트워크
10-04-19 2974
118 생사확인신청을 하고 보니, 제가 300번째군요.
윤정우
10-04-17 2713
117 포럼 : 북한정치범수용소의 반인권성
북한민주화네트워크
10-04-16 2725
116 이미일회장님의 월간조선 2010년 4월호 인터뷰기사를 보고, 소감을 말슴드.. [1]
윤정우
10-04-14 2561
115 아래 6.25납북 처녀의 탈추기를 보니, 납북당하신 아버님이 더욱 그리워 집.. [1]
윤정우
10-04-14 2720
114 이미일회장님, 감사합니다.
윤정우
10-04-13 2908
113 아래 기사를 보니, 우리 납북자 추모공원을 빨리 만들었으면 합니다. 그럴..
윤정우
10-04-13 2647
112 아래 글을 보니, 우리 가족회가 6.25납북자 추모기념공원을 건설하것을 추..
윤정우
10-04-01 2477
111 소식지103호 2010.3.7의 첨부물을 보고.....사무국에 부탁드립니다.
윤정우
10-03-21 2477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