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가족회 활동문서

가족회 활동문서

결의안 1차 미국방문 ‘한국전쟁 납북자 결의안’ 에 관한 호소문
이름: 관리자
2011-05-12 12:23:00  |  조회: 1806
‘한국전쟁 납북자 결의안’ 에 관한 호소문

2011. 5.
한국전쟁납북인사가족협의회


1950년 6월, 한반도에서 북한의 기습 남침으로 시작된 한국전쟁을 잘 알고 계시리라 생각합니다. 처음으로 유엔의 깃발아래 미국을 비롯한 세계 16개국이 ‘평화의 파괴자’에 맞서 대한민국을 위해 참전한 정의로운 전쟁이었습니다. 무엇보다 이 전쟁을 주도적으로 수행하여 한국의 자유와 민주주의를 지켜준 미국에 깊이 감사드립니다.

한국전쟁은 1953년 휴전이 되었지만 저희 전쟁납북 피해가족들에게 이 전쟁은 아직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60년이 넘도록 한국전쟁 중 북한이 납북해 간 사랑하는 가족들의 생사조차 모르고 있기 때문입니다.

북한은 남한을 공산화하기 위해 남한 각계의 지도자들을 비롯한 필요한 인력들을 사전계획 하에 조직적으로 선별하여 납북하거나 전쟁수행에 동원했던 것입니다. 그들의 수는 8만 명을 넘습니다. 이는 적대 행위에 참여하지 않은 비전투 민간인들을 위협하여 납치한 반인륜적인 전쟁 범죄입니다.

당시 한국전쟁 휴전회담 유엔군 측 대표였던 미국은 남한민간인 납북문제를 비교적 정확히 파악하고 있었습니다. 1951년 12월 시작된 휴전회담 포로문제 분과위원회에서 북한이 억류한 외국 민간인들의 경우 북한의 자발적인 석방조치와 유엔군 측의 관심으로 1953년 4월경에 귀환하였습니다.

그러나 납북된 남한민간인의 경우 북한은 없다고 했고 자진 월남한 북한주민 50만을 유엔군이 ‘납치’해갔다는 억지 주장을 거듭하면서 남한민간인 납북범죄를 은폐하는 데 전력을 다했습니다. 휴전이 시급했던 유엔군 측은 남한민간인 납북문제 협상에서 ‘납치’라고 언급하지도 못했습니다.

북한의 완강한 납북사실 부인과 포로교환 문제로 어려움에 처한 휴전협상 당시 상황 때문에 유엔군 측이 납북문제까지 제시할 여력이 없었을 것입니다. 휴전회담이 더욱 난항을 겪게 될 것을 경계한 유엔군 측은 납북자 문제를 ‘실향사민(displaced civilian)’에 포함시켜 해결하려 했습니다. 그러나 ‘displaced’라는 용어에서는 전쟁범죄에 해당하는 ‘abduction’의 의미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용어는 ‘자진월북자’만 있을 뿐 타의에 의한 ‘납북자’란 존재하지 않는다는 북한의 억지 주장을 오히려 객관화 해주었습니다.

중립기구의 감독 하에 실향사민의 자유의사를 물어야 한다는 유엔군 측의 주장마저도 끝내 관철되지 못했습니다. 마침내 휴전협정이 조인되고 협정문 제59항에 ‘실향사민귀향협조위원회’를 두어 귀향을 원하는 민간인들의 송환을 적극 돕는다고 규정되어있지만 1954년 3월 실향사민을 송환하기로 한 날 북한은 ‘귀향을 원하는 남한민간인은 없다’며 단 한 명도 보내주지 않았습니다.

납북자와 그 가족들에게는 그야말로 대재앙이요 비극의 시작이었습니다. 저희는 한시도 납북된 가족을 잊고 산 적이 없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 왔습니다. 그런 결과로 늦게나마 2010년 한국 국회에서 한국전쟁 납북자 특별법을 입법하여 정부가 납북피해 진상규명 등 납북자 문제해결에 나서게 된 것은 고무적인 발전입니다. 그러나 한국정부의 노력만으로 북한을 상대로 전쟁납북자 문제를 해결하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그러므로 한국전쟁 휴전회담 대표직을 수행했던 미국을 비롯한 국제사회의 협조를 요청하고자 합니다. 우선적으로 미국 의회가 다음과 같은 내용을 포함한 ‘한국전쟁 납북자 결의안’을 상정해 주시기를 호소합니다.

1. 한국전쟁 휴전회담에서 잘못 사용된 ‘실향사민’이라는 용어를 ‘납북자’ 로 정정하기 위한 필요한 조치
2. 한국전쟁 중 남한민간인 납북범죄를 시인하도록 북한을 압박
3. 북한에 납북자의 생사확인과 소식전달, 유해송환 등을 촉구

긴 세월 동안, 사랑하는 가족과 강제로 헤어져 생사조차 알지 못해 전전긍긍하는 저희들의 간절한 호소를 들어 주시어, 휴전협상에서 희생양이 된 납북자들에게 이제라도 소중한 한 사람으로서의 가치가 부여되도록 길을 열어 주시기를 간절히 바랍니다.

여러 상하의원님들께서 이 ‘한국전쟁 납북자 결의안‘에 많은 관심과 협조를 기울여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00 북한에 의한 납치문제 해결 국제 연합대회[누락분]
관리자
10-10-31 2799
499 6․25전쟁 납북피해 진상규명 및 납북피해자 명예회복에 법률 및시행..
관리자
10-09-27 2882
498 ‘전시납북자 및 법조인 납북자의 실상‘에 대한 토론문[누락분]
관리자
10-06-22 3170
497 북한자유주간 납북자 이름 부르기[누락분]
관리자
10-04-27 2512
496 6․25전쟁 납북피해 진상규명 및 납북피해자 명예회복에 관한 법률[누..
관리자
10-05-18 2838
495 대통령께 드리는 서한2[누락분]
관리자
10-10-06 2492
494 대통령께 드리는 서한1[누락분]
관리자
09-12-29 2121
493 “옛날 얘기가 아닌 지금의 비극”-수잔 숄티 초청 연세대 발표[누락분]
관리자
09-10-06 2581
492 한국전쟁납북사건사료집 2권 발간사[누락분]
관리자
09-09-28 2535
491 NPC연설문-한국전쟁 납북자 문제 해결을 호소하며[누락분]
관리자
07-07-26 2548
490 한국전쟁납북사건사료집 1권 발간사[누락분]
관리자
06-09-28 3012
489 6.25납북자료화보집 '돌아오지 못한 사람들'발간
관리자
12-12-31 2578
488 전쟁납북자 가족들의 증언집 '사라져간 그들' 발간
관리자
12-12-10 1997
487 제3회 6.25납북희생자 기억의 날 인사말씀
관리자
12-06-28 1750
486 미국하원 결의안 만장일치 채택통과
관리자
11-12-13 1886
485 2차미국활동세미나계획서-워싱턴 DC 세미나 Proposal
관리자
11-10-06 2823
484 ‘한국전쟁 납북자 관련 결의안’ 지지 요청서
관리자
11-10-01 1916
483 제2회 6.25납북희생자 기억의 날 인사말씀
관리자
11-07-27 1787
482 미국 북한인권위원회 북한의 납치보고서 발표회 메세지
관리자
11-05-12 1969
481 결의안 1차 미국방문 ‘한국전쟁 납북자 결의안’ 에 관한 호소문
관리자
11-05-12 1805
1 2 3 4 5 6 7 8 9 10